현실 속의 심연, 물과 거울

작품 정보

전시 기간
2016.06.20(월) ~ 2016.07.22(금)
참여 작가
김하연, 문창화, 신은희, 안민경, 김선휘, 정석우, 야은, 변자영, 이병구, 이명진
전시 장르
영상, 사진, 회사, 글 등
관람 시간
10:00~17:30
주말, 공휴일 휴관
문의 전화
02-3393-5363
FAQ 바로가기

작품소개

샘표 스페이스의 6월 전시, <현실 속의 심연, 물과 거울> 은 총 두 개의 그룹전이 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합동 전시이다. 각각 ‘현실 속의 심연’과 ‘물과 거울’이라는 주제 아래에 다양한 장르의 작가들이 모여,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여러 시각, 또는 전혀 새로운 시각에서 탐구해 나간다.

<현실 속의 심연>은 서로 마주 서 있는 거울이 서로의 상을 주고받듯이, 한 작품 안에 또 하나의 작품을 넣는 기법인 미장아빔을 사용한다. 그림 속의 그림, 영화 속의 영화 등 재현의 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장아빔은 문학, 미술, 사진, 영화 등 예술 영역 전반에 적용되고 있으며, 주로 작품의 반복 구조와 자기반영성과 관련된다. 미술, 사진, 영상 등의 작가들이 미장아빔의 표현 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전시한다. 거울과 거울-이미지, 자기반영성, 현실 속의 심연 등 미장아빔을 활용, 확장한 작업을 하고, 작가들의 메타 작업(작업에 대한 작업)으로 연결시킨다. 시점의 중첩과 분산 등 다양한 시점을 구현하는 작품을 통해, 세상을 다른 시각으로 비추고 보여준다.

<물과 꿈>은 여름이 되면 비록 냄새 나는 개천가일지라도 대낮에 돗자리를 펴놓고 잠든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 계절은 늘 물이 그립고 그 곁에 눕고 싶고 언뜻 잠에 빠져 들게 하는 것에서부터 기획되었다. 사람들은 말 그대로 물가에서 꿈을 꾸곤 한다. 프랑스의 과학철학자이자 문학비평가인 바슐라르는 냇가에서 꿈꾸었던 기억을 회상하며 <물과 꿈>이라는 책에서 물의 각종 이미지들을 보고 흘러나온 몽상들을 정리하고 있다. 그의 미학은 단순히 관념적으로 작품 형식을 분석한 것이 아닌, 물이라는 구체적 물질에 대한 작가들의 생생한 상상을 분석하고 있기에 독자로 하여금 물에 대한 다양하고 뚜렷한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게 해준다.  다양한 물의 성격들을 감각적으로 느끼고 그 감각에 연결하여 깊게 꿈을 꾸고 있는 작품들을 초대하고자 한다. 바슐라르의 말처럼 상상력은 현실을 넘어선, 현실에 대하여 눈을 뜨게 해주는 것들이다. 그들은 우리가 그냥 지나치던 물, 비, 눈, 개천, 강, 바다부터 욕조의 물, 하수, 찻잔 속의 차, 커피, 국, 수프까지 모든 물들에 대해 예사롭지 않은 시선을 갖게 해 줄 것이 분명하다. 더불어 한 여름인 6, 7월에 이 물에 대한 꿈들을 보며 잠시나마 더위를 잊고 휴식을 취해보려 한다.

작가소개

김하연

개인전

2011<끝나지 않는 자잘한 하루>(문화공간해시, 인천)

기획전 및 단체전

20162016 힐스 창작 그림책 (갤러리사각형, 서울)

2015힐스 19 일러스트레이션 (갤러리원, 서울)

2013인천민족미술인협회 정기전 (문화공간해시, 인천)

2013물길 바람길 전<내 안의 역사, 염하>(강화둘레길2코스 오두리)

2012황해미술제<신나는 자존>(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2009<망루전>(평화박물관, 서울)

2008<새벽출정 그 이후>전 (주안미디어센터, 인천)

2007향촌 철거촌 신현기님 49제를 위한 공동작업 (향촌, 인천)

2006농민사랑문화예술전 (국회의원회관로비, 서울)

2003-2008인천민족미술인협회 황해미술제 및 정기전

2004-2007노동미술굿

전시 기획

2012젊은 미술 인천3040<네 개의 일화>(문화공간해시, 인천)

문창화

개인전

2011푸른 시간 (부평아트센터, 인천)

2006변두리 풍경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주요 단체전

2014부평아트센터 기획전시-나의 살던 동네- 두 번째 이야기(부평아트센터)

2011인천 젊은 작가 기획전시- 유어인천(인천아트플랫폼)

2010부평아트센터 개관전시 – 나의 살던 동네 (부평아트센터, 인천)

2008한국현대사진 60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감성과 시선(갤러리 나우, 서울)

2007도시 읽기(토포하우스, 서울)

2005광복60주년기념-한국사진의 과거와 현재(세종문화예술회관,서울)

2004도시에 머문 시선(대안공간 풀) 등

신은희

단체전

2015<술타나의 꿈> 괴어오르다展(샘표 스페이스, 이천)

2012<풋풋풋풋> RE:PLAY展 (갤러리 홀스톤, 대전)

2011아(我)오 씐나!展 (플래툰 쿤스트할레, 서울)

영화

알럼 J.Alam

20159회 이주민영화제 외

201414회 인디다큐페스티벌, 15회 전주국제영화제 외

 

미화 Miwha

2013213회 독립영화발표회, 한국영상자료원

 

Welcome little strangers

20108th International Festival Signes de Nuit, Goethe Institut, 파리, 프랑스

20096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서울아트시네마

안민경

2016불꽃 그룹전(H갤러리)

2015THE SIF(The seoul illustratrion fair) 괜찮아 기획전 공모 전시

김선휘

개인전

2013an illusion (갤러리그리다,서울)

2011폭력의놀이 (신한갤러리,서울)

기획전 및 단체전

2016콜라보마켓 아트컬렉션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괴어오르다 (샘표스페이스, 이천)
일상사예술 (안양아트센터, 안양)

장석우

개인전

2013내가 기억하는 박동 (갤러리 도스, 서울)

2011Indusprism_바라지않는다 (정림리창작스튜디오 갤러리, 양구)

2010볼천지 (갤러리도스-운모하, 서울)

단체전

2015괴어오르다 (샘표 스페이스, 이천)

2014Melting Dot (갤러리 도스, 서울)

2013공유된 고립 (금호미술관, 서울)
코끼리의 날개<기는풍경> (문화역284, 서울)

2012Distancing (금호미술관, 서울)
Economic Love Camp<기는풍경> (꿀, 서울)

2011Fresh blood-vale tudo#4 (샘표 스페이스, 이천)
Atomic13, (공평갤러리, 서울)

2010잇다(박수근 미술관, 양구)

2009성<기는풍경> (토탈 미술관 더룸, 서울)

2008Semutbut_나를믿어라 (국민아트갤러리, 서울)

2007동아시아의 목소리 (대안공간 풀, 서울)

수상 / 레지던시

2011~2013금호창작스튜디오 제7기 입주작가

야은

개인전

2013가죽붓으로 그린 그림일기 (대전역사박물관)

2012작은계집, 운모하 테라스 (갤러리 도스 기획, 서울)

2008기도 Prayer (굿모닝 신한 갤러리, 서울)

그룹전

2013Christmas with U展 (포스코미술관)

2010UN의 날 장애인 문화 대축제 (인천대교주식회사)
서울 디자인 한마당. 잠실종합체육관

2009당신의 마음을 그려줘요 (충무아트홀, 서울)

2008아시아프 (구서울역, 서울)

2005근맥전 (인사 갤러리, 서울)

2004제2회 시사회전 (대안공간 팀프리뷰, 서울)
한국 신세대 미술전 (서안 미술대학 미술관, 중국)

퍼포먼스

2010~2015
AKPLAZA, 현대백화점,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인천공항, 서울시청앞광장, 우리은행, 혜광학교, 온양민속박물관, 신라호텔, 인터콘티넨탈호텔

변자영

공연

2010~2014신촌콘서트

책들

2016글로벌 뮤지컬 라이브

2015노래를 통한 신촌 토크

2014노래가 말한다
오픈 레코즈

이병구

RAYSODA 정회원

Voigtclub 정회원

AllThatPhoto 정회원

2011녹색생태환경사진공모전 입상

2010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입상

2009아이사랑 사진공모전 입상

2008숲 그리고 나무 사진공모전 입상

이명진

제작, 연출

2015<팽창>(4min) 제작, 연출

2012<화성인의 손>(25min 20sec) 제작, 연출

2008<하루>(29min) 구성, 그래픽 디자인

2007<시가 좋아졌다나, 변덕쟁이들>(13min) 구성, 조연출

2005<난 듬직하지 않아>(10min 47sec) 제작, 연출

2004<열애기>(15min) 조연출

2003<골렘>(45min) 제작, 연출

수상 등

17th 십만원 비디오 페스티벌 인기상, 대종상 단편상 수상, 서울 독립 영화제, 서울 퀴어 필름 페스티벌, 일본 간사이 퀴어 페스티벌, 부상 레인보우 필름 페스티벌, 6th 헤이그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 17th 인디포럼